검색창 열기
Changing Tomorrow>R&D Sense
깨알 키워드
#경량화 지수Lightness Index

주로 포장재 산업에서 재료 효율성과 친환경성을 측정하는 핵심 지표로 활용된다. 일본에서는 경량화 지수를 유리병의 친환경적인 면을 평가하는 척도로 삼고 있다.

#경량화 지수
Lightness Index
경량화 지수는 특정 용기나 제품의 경량화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표다. 주로 포장재의 무게를 줄이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유리병의 경우 병의 질량과 최대 수용량의 비율을 계산하여 산출할 수 있다.
#유리병 포장재의 경량화 등급제
일본은 ‘일본 유리병 재활용 촉진 협의회’를 중심으로 유리병 경량화 지수를 이용해 유리병 친환경성을 평가하고 있다. 유리병의 경량화 지수 L값이 0.7 이하면 초경량 병, 1.0 이하는 경량 병, 1.4 이하는 표준 병, 1.4 초과는 중량 병으로 판단하고 있다.
#음료 업계, 플라스틱 용기에 꾸준히 경량화 기술 적용
음료 업계는 경량화 기술로 꾸준히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고 있다. 환경보존과 자원 저감이 목표다. 2025년 4월 롯데칠성음료는 용기 경량화 기술을 도입해 지난해에만 약 1220톤의 플라스틱 사용량 감축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경량화 기술로 화장품 유리 용기 급증
최근 플라스틱 규제 강화와 ESG 경영으로 화장품 업체가 유리 용기 비중을 높이고 있다. 플라스틱 소재보다 무겁다는 단점을 가졌던 유리 용기가 최근 경량화되면서 적극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한 증권사는 화장품 유리 용기 기업 에스엠씨지의 올해 영업이익이 102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2024년보다 130% 늘어난 규모다.
#비강도
재료의 밀도 대비 인장 강도의 비율이다. 경량화 지수가 ‘단위 용량당 무게’를 측정한다면, 비강도는 ‘단위 무게당 강도’를 측정한다. 비강도가 높을수록 더 가볍기 때문에, 경량화와 내구성 향상에 중요한 지표다.
#비탄성률
인장 탄성률을 밀도로 나눈 지표다. 가볍고 늘어나기 어려운 성질의 척도다. 비탄성률이 높은 재료는 가볍지만 강성이 뛰어나 항공우주 분야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모스 경도
긁힘 경도의 한 종류로, 재료 긁힘에 대한 저항력을 1부터 10까지 상대적인 척도로 나타내는 지표다. 일반적인 유리는 약 5.5 정도로, 긁힘에 취약한 편이다.
# LCA Life Cycle Assessment
(전 과정 평가)
제품의 전 생애주기 동안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 측정하는 평가 방법이다. 제품 경량화로 LCA 지표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비결정성 고체
결정성 고체의 핵심적인 특징인 입자 배열의 규칙성과 반복성이 없는 물질이다. 결정성의 질서가 무너져 입자들 사이 거리와 인력이 일정하지 않은 특징을 가진다.
#초경량 유리
화학적 강화 처리를 통해 기존 유리보다 훨씬 얇고 가벼우면서도 높은 내충격성 및 강도를 유지하도록 개발된 유리 소재다. 최신 디스플레이, 첨단 건축 분야 등에 활용된다.
 이번 호 PDF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