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Changing Tomorrow>R&D Policy
산업 지도를 바꿀 차세대 기술
김리안 <한국경제신문> 기자
국내1
양자기술 이제는 산업이다
양자기술이 차세대 첨단산업의 게임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다. 초고속 연산, 초신뢰 통신, 초정밀 계측 등 기존 기술의 한계를 돌파할 수 있는 양자기술은 향후 인공지능, 신약 개발, 금융·물류 등 다양한 산업에 광범위한 혁신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6월 18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제2차 양자기술 산업화 포럼’을 열고, 산업 현장에 양자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분야별 실행과제를 논의했다. 지난 2월 출범한 포럼의 첫 대면 회의로, 이날 행사에는 관련 기업과 스타트업, 연구기관, 학계 등 산·학·연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국내 양자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하드웨어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소프트웨어 기업의 자생력 강화, 산업현장 중심의 활용 사례 확대, 양자 전문인력 양성 등이 시급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이에 산업부는 1000개 업종별 적용 사례 실증, 반도체 등 10대 주력 산업에 특화된 양자 활용 플랫폼 개발·보급, 양자기술 사업화 프로젝트 추진, 실무형 인재 1만 명 양성 등을 중점 과제로 검토하고 있다.

또한 기술개발, 보급확산·인력양성, 법·제도,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표준화 등 5개 분과별 토의를 통해 실행과제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책 방향을 마련할 계획이다.

오승철 산업부 산업기반실장은 “양자기술 상용화는 기술 자체가 아닌 산업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에서 출발해야 한다”며 “업계와 함께 실질적인 실행과제를 구체화해, 연내 실효성 있는 양자 산업기술 활성화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내2
韓 정부, 꿈의 전고체 배터리에 1800억 원 넘게 투자
기존의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LFP(리튬인산철)와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가 양분하고 있다. 하지만 두 기술 모두 화재 위험성, 충전 속도, 에너지 밀도 등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어, 이를 극복할 차세대 기술로 전고체 배터리가 ‘꿈의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는 고체 전해질을 사용해 안전성과 에너지 밀도를 동시에 높일 수 있어, 미국·일본·중국 등 주요국들이 관련 기술개발 경쟁에 뛰어든 상황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고분자계 전고체 배터리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기관을 선정하고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주요 참여 기관은 아모그린텍(산), 충남대학교(학), 한국광기술원(연) 등이다. 이번 사업은 스마트워치, 무선 이어폰, VR 기기 등 소형 웨어러블 기기를 겨냥한 경량 고안전 배터리를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고분자계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액체 전해질의 한계를 극복하며 경량화, 고에너지 밀도, 고안전성을 동시에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업은 2025년부터 2028년까지 진행되며, 총 358억 원(국비 250억 원, 민간 108억 원)이 투입된다. 이를 통해 충전 부담이 적고 화재 위험이 낮은 차세대 웨어러블 기기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부는 앞서 산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위해 ‘기판실장용 초소형 적층 세라믹 전고체 배터리 개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 사업은 2023년부터 2026년까지 총 294억 원을 투입해 PCB 기판에 직접 부착 가능한 고안전·저전력 배터리를 개발하고 있으며, 전자기기 주전원의 부담을 덜어 사용 시간을 늘리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대형 배터리를 위한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개발도 진행 중이다. 산업부는 2024년부터 2028년까지 총 1172억 원을 투입해 전고체, 리튬 금속, 리튬황 배터리 등 차세대 이차전지 기술을 공동 개발 중이며, 이를 통해 전기차의 주행거리 연장과 화재위험 감소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고자 한다.
해외
영국의 바이오 전략 지도
팬데믹 이후 생명과학은 단순한 보건 이슈를 넘어 국가 성장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세계 각국이 바이오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영국 정부도 ‘글로벌 바이오 강국’ 도약을 위한 본격적인 투자 전략에 돌입했다.

바이오협회에 따르면, 영국 정부는 생명과학 분야에서 2030년까지 유럽 최고, 2035년까지 세계 3위 수준의 바이오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산업 성장 계획을 최근 발표했다.

영국 정부는 “과도한 규제와 기술 활용 부족으로 인해 기존 접근 방식이 효과적이지 않았다”고 진단하며, 가장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닌 부문에 대한 ‘표적화된 장기 계획’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건강 데이터 연구 서비스를 중심으로 약 8억 800만 달러(약 1조 1000억 원)를 투입하며, 5년간 ‘지노믹 잉글랜드’에 8억 7600만 달러(약 1조 2000억 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또한 건강 데이터·연구 프로그램 ‘우리의 미래 건강Our Future Health’에 최대 4억 7700만 달러(약 6500억 원), 중개 연구 네트워크의 전임상 인프라에 최소 4000만 달러(약 550억 원), 대규모 바이오 데이터베이스인 ‘UK 바이오뱅크’에 최대 2700만 달러(약 370억 원) 예산이 각각 배정됐다.
아울러 ‘생명과학혁신제조펀드’를 통해 총 7억 100만 달러(약 1조 원)를 투자해 해외 제조기업을 영국에 유치하고, 산업계 파트너십을 확대할 방침이다. 주요 바이오제약사와 연간 1건 이상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는 것이 목표다.
규제 혁신도 병행된다. 영국은 의약품·의료기기 관련 규제기관인 MHRA(의약품·헬스케어제품규제청)와 NICE(국립보건임상평가연구소)의 ‘병행 승인’을 통해 제약사의 시장 진입 속도를 높이고, 두 기관을 ‘더 빠르고 민첩한’ 규제기관으로 개편할 계획이다.

영국 정부는 “세계에서 가장 진보되고 안전하며, AI가 지원하는 건강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할 것”이라며 “임상시험 승인 기간도 150일 미만으로 단축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호 PDF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