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1
양자기술 이제는 산업이다
양자기술이 차세대 첨단산업의 게임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다. 초고속 연산, 초신뢰 통신, 초정밀 계측 등 기존 기술의 한계를 돌파할 수 있는 양자기술은 향후 인공지능, 신약 개발,
금융·물류 등 다양한 산업에 광범위한 혁신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6월 18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제2차 양자기술 산업화 포럼’을 열고, 산업 현장에 양자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분야별 실행과제를 논의했다. 지난 2월
출범한 포럼의 첫 대면 회의로, 이날 행사에는 관련 기업과 스타트업, 연구기관, 학계 등 산·학·연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국내 양자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하드웨어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소프트웨어 기업의 자생력 강화, 산업현장 중심의 활용 사례 확대, 양자 전문인력 양성 등이
시급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이에 산업부는 1000개 업종별 적용 사례 실증, 반도체 등 10대 주력 산업에 특화된 양자 활용 플랫폼 개발·보급, 양자기술 사업화 프로젝트 추진, 실무형 인재 1만 명 양성
등을 중점 과제로 검토하고 있다.
또한 기술개발, 보급확산·인력양성, 법·제도,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표준화 등 5개 분과별 토의를 통해 실행과제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책 방향을 마련할 계획이다.
오승철 산업부 산업기반실장은 “양자기술 상용화는 기술 자체가 아닌 산업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에서 출발해야 한다”며 “업계와 함께 실질적인 실행과제를 구체화해, 연내 실효성 있는
양자 산업기술 활성화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