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세계 시장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 연구소를 육성하다
연구개발은 단순히 국내 기술 경쟁력을 높이는 차원을 넘어 글로벌 시장을 겨냥해야 한다. 좁은 내수 시장에 머무를 경우 기술의 확장성과 사업화 가능성은 한계에 부딪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세계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글로벌 기업이 현저히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공급망 재편이 가속화되고 있는 지금 글로벌 기업과의 기술 협력은 단순한 수출을 넘어 기술 내재화
및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라는 전략적 전환점이 될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4월 24일 개최된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서 ‘수출지향형 글로벌 우수기업연구소 육성사업GATC’이 총 사업비 2895억원(2026~2031) 규모로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였다고 밝혔다.
수출지향형 글로벌 우수기업연구소 육성사업GATC은 글로벌 기술 선도기관과 협업하여 첨단기술을 확보하는 기술선도형 트랙(2574억원)과 수출대상국 기업 및 인증기관과 연계한 해외시장
진출을 촉진하는 시장맞춤형 트랙(261억원)으로 구분되어 기업연구소를 지원할 예정이다.
해외 기술 선도 기관과 공동 R&D, 국내외 인력 교류 및 해외 연구시설·장비 등 해외 테스트베드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지원대상은 수출역량 및 기술잠재력을 지닌
중소·중견기업 부설연구소이며, 지원분야는 8대 핵심 투자분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미래모빌리티, 핵심소재, 지능형로봇, 첨단제조, 첨단바이오다.
또한 연구개발부터 기술·시장 컨설팅, 민간 투자 연계 등 사업화까지 R&D 전주기 지원을 통해 기업연구소가 자체 경쟁력을 확보하고,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집중지원한다.
한편, 산업부는 기업연구소의 성장을 위해 2003년부터 우수기술연구센터ATC사업(2003~2022) 및 우수기업연구소육성ATC+사업(2020~2026)을 지원해 왔으며, 평균
매출액 40% 성장, 108개사 주식시장 상장, 28개 기업 매출 1000억원 달성 등 우수한 성과를 창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