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및 데이터 가치 중심의 두 가지 제조 서비스 혁신 방향
제조 서비스화의 흐름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전개되며, 제조업체의 가치사슬을 확장하고 있다.
제품의 서비스 플랫폼화
‘제품의 서비스 플랫폼화’는 물리적 제품을 통해 고객의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 분석, 관리함으로써 서비스를 확장하는 모델을 의미한다.
지금으로부터 10년 전 구글과 애플을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 1위로 꼽혔던 온라인 안경회사 와비파커Warby Parker는 ‘Home Try-on’
서비스를 통해
단순한 유통 혁신을 넘어, 데이터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며 안경산업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그렇다면 안경 유통회사가 어떻게 ‘미국 최대 안과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었을까? 와비파커는 고객이 안경을 구매하는 데 필수적인 ‘유효 시력 처방전’ 확보 과정을 모바일 환경으로
전환했다. 핵심은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자가 시력검사 체크Prescription Check’ 서비스로, 고객은 집에서 기기에 구애받지 않고 시력검사를
수행하고, 해당 검사
데이터는 실시간 와비파커의 서버로 전송된다. 이 데이터는 AI 알고리즘에 의해 1차 분석되고, 제휴한 지역 안과 의사들의 원격 최종 검토를 거쳐 처방전이 갱신된다. 이 과정에서
와비파커는 단순 안경 판매자가 아닌, 미국 전역의 방대한 고객 시력 변화 및 안과 건강 기록을 통합하는 데이터 플랫폼 사업자로 변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안경이라는 물리적 제품은 이제 최종재가 아니라 고객의 건강 데이터를 획득하고 ‘시력 관리’라는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로 기능하며, 일회성 구매가 아닌 지속적인
데이터 흐름과 반복 수익을 창출한다.
와비파커는 ‘자가 시력검사 체크’ 서비스를 통해 고객의 시력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력 관리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플랫폼 사업자로 변신했다.
경험의 제품화Experience-as-a-Product
‘경험의 제품화’는 제품을 플랫폼으로 전환한 와비파커와 달리, 무형의 지식과 경험을 독자적인 유료 상품이나 서비스로 만들어 수익화하는 역방향 혁신이다.
국내 스타트업인 스마트 POS 개발 업체 넥스트페이먼트NEXTPAYMENT는 스마트 상점 데이터 기반 B2B SaaS❶ 솔루션 기업으로
성장하며, 이제 하드웨어
판매를 핵심 수익원으로 두지 않는다. 스마트 POS는 고객 데이터를 수집하는 핵심 플랫폼으로, 주문자의 성별·나이, 방문자 동선, 공간 사용 분석 데이터와 결제 정보까지 통합
분석해 매장 운영 효율을 높이는 데이터 인사이트를 창출한다. 확보된 이 방대한 데이터를 정부의 공공데이터와 연계함으로써 소상공인을 위한 금융, 세무, 식자재 유통 플랫폼으로까지
연동 범위를 넓힐 수 있다. 이로써 스마트 POS라는 제품은 경영 컨설팅에 준하는 지식 서비스를 판매하는 통로가 되며, 제조업의 역할이 ‘판매자’에서 ‘솔루션 파트너’로 확장된
혁신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 ❶ SaaSSoftware as a Service : 소프트웨어 기반
서비스의 약자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핵심 모델 중 하나다. SaaS는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직접 구매해 설치하는 방식이 아닌, 인터넷을
통해 원격으로 접속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제공
방식이다.
넥스트페이먼트는 단순 하드웨어 판매를 넘어, 스마트 상점 데이터를 분석해
경영 컨설팅급 지식 서비스를 판매하는 혁신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