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히어로가 등장하는 영화 <배트맨>. 이 시리즈에서 브루스 웨인은 배트맨으로 변신해 고담 시티를 악으로부터 지킨다. 이때 입는 배트 슈트는 총탄과
폭탄 파편으로부터 착용자를 방호한다. 이러한 옷은 현실에도 존재한다. 석유화학 섬유로 이루어진 방탄복으로 말이다.
총기는 중세를 몰락시켰다. 체력에 상관없이 누구나 하루만 배우면 바로 전투에 투입시킬 수 있다. 중세 기사들이 입던 갑옷 따위는 간단히 무력화시켰다. 하지만 창이
발전하면 방패도 발전하는 법. 섬유의 발전이 총탄을 막는 해법을 제시했다. 축구 골대의 네트가 축구공을 막듯이, 매우 질긴 섬유를 충분히 두껍게 겹치면 총탄을 막을
수 있다. 그래서 처음에는 면, 실크 등의 천연섬유로 방탄복을 만들어 입었다. 하지만 천연섬유는 변질되기 쉽고, 일정 수준 이상으로는 내구성과 방탄 능력을 높일 수
없다. 그러던 중 발명된 나일론을 필두로 한 각종 석유화학 섬유는 방탄복 개발자들의 고민을 덜어줬다. 천연섬유보다 훨씬 인장 강도가 높으면서도 가벼워 방탄복의 소재로
적합했다. 나일론은 제2차 세계대전을 기점으로 방탄복 소재로 많이 활용됐다. 이후 케블라 섬유❶, 다이니마 섬유❷, 스펙트라
섬유❸ 등 다양한 합성섬유가 개발돼
방탄복의 소재로 쓰이고 있다.
그러나 섬유제 방탄복에는 태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바로 경도가 낮은 섬유라는 한계 때문에 칼이나 송곳 등 경도가 높은 예기❹의 공격에는 약하다.
비슷한 이유로
구경이 작아 저항도 작고, 속도가 권총탄보다 상당히 빨라 운동에너지가 높은 소총탄이나 탄심에 철 등 경도 높은 금속을 넣은 철갑탄의 공격에는 비교적 쉽게 뚫리는
것이다. 그 때문에 현대의 방탄복에는 별도의 방탄판을 넣어 이런 공격에 대한 방어력을 확보하는 경우가 많다. 방탄판의 재질은 티타늄 등의 금속도 있지만 세라믹,
고강도 플라스틱 등 가벼우면서도 총탄보다 우수한 경도를 확보해 명중한 총탄을 깨버릴 수 있는 인공 소재도 많이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