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분석하고 전략도 짜는 AI… 산업제조 AI 2027년까지 200개 확대
“인공지능AI이 우리를 대체하는 게 아니라 AI를 사용할 줄 아는 사람이 일자리를 대체할 것이다.” ‘세계 최고의 미래 전략가’로 불리는 제이슨 솅커 프레스티지이코노믹스 회장의
말이다. AI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그만큼 중요해진다는 뜻이다. 이는 일개 개인에게 국한된 얘기가 아니다. 앞으로 기업도 AI를 얼마나 활용할 수 있느냐에 따라 생산성과
결과물의 질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최근 산업계에서 주목하는 자율제조 AI가 그 예다. 자율제조 AI는 데이터를 활용해 생산 공정을 자동화하고 최적화해 효율성을 크게 높이는 기술이다. 머신러닝, 딥러닝, 데이터 분석
등의 기술을 바탕으로 하며,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 최적의 운영 방안을 제시한다. 이는 단순히 노동력을 대체하는 데 그치지 않고,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해 생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 과정에서 비용도 절감하며, 품질을 개선하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이를 위해 정부도 발 벗고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초까지 ‘AI 자율제조 전문기업 디렉토리’를 작성할 계획이다. 디렉토리는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이 주도하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등 연구기관과 학계, 산업계 전문가가 협력해 제작한다. AI 솔루션 기업, 로봇 기업, SISystem
Integration
기업 등 세 분야에서 각각 10개 내외, 총 30개 전문기업을 선정한다.
선정된 전문기업은 ‘AI 자율제조 선도 프로젝트’에 참여할 기회를 얻는다. 이 프로젝트는 AI를 활용해 제조 공정을 개선하기 위한 사업이다. 산업부가 연구개발R&D 자금, 금융,
컨설팅 등을 지원한다. 올해 시작된 26개 프로젝트는 2027년까지 200개로 확대하기로 했다.
현대자동차, GS칼텍스, 삼성중공업, 포스코 등 주요 제조업체가 이미 참여 중이며, 내년부터는 전문기업의 참여 여부가 평가에 반영된다. 또한, AI 전문기업들은 1년간 지원되는
‘AI 자율제조 미니 프로젝트’에도 참여할 수 있다.
AI 전문기업들은 ‘제조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에도 참여할 수 있다. 이 모델은 OpenAI의 GPT처럼 광범위한 데이터를 활용해 제조업에 특화된 지식을 학습하는 대규모 AI
모델로, 제조 공정에 적용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