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는 미래의 경제적 풍요를 이끄는 가장 강력한 힘이다.”
‘챗GPT의 아버지’로 불리는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의 말이다. 지난 2022년 말 챗GPT가 대중에게 처음으로 공개된 후 인류는 AI 시대가 훌쩍 다가왔음을 부정할 수 없게 됐다. 이젠 AI가 웬만한 데이터는 자동으로 처리할 뿐만 아니라 이미지나 동영상을 만들어주고 작곡도 한다. 올해 CES의 키워드로 ‘AI’가 꼽혔을 만큼 전 세계가 AI에 주목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AI가 산업의 양태를 바꿀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제 생성형 AI를 다루는 능력을 키우지 못한 나라는 개별 산업 경쟁력뿐 아니라 국가 자체의 경쟁력도 잃어버릴 수 있는 것이다.
word 이슬기 <한국경제신문> 기자
민간이 주도해 AI 정책 제언한다
우리 정부도 이 같은 문제의식을 갖고 지난 5월 8일 ‘AI시대의 신산업정책’ 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출범식에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반도체 신화를 이룩한 김기남 공학한림원 회장(전 삼성전자 사장)을 비롯해 150여 명의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정부는 이 위원회에서의 논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AI를 산업에 접목할 수 있는 정책을 구상하겠다는 계획이다. 앞으로 6개월 동안 국내 AI 분야 산학연 전문가 200여 명이 참여해 기탄없이 정책 제언을 담아낼 예정이다.
먼저 위원회에서는 민간 전문가가 주도해 작업반을 구성해 총론을 그린다. 작업반은 △미래 AI기술 △미래 산업 모습 △표준 △정책 제언 등 크게 네 가지 분야에 대한 분석을 내놓을 예정이다. 예를 들어 위원회는 먼저 자동차 분야의 현재 기술 동향을 살펴본 뒤, 자동차산업의 미래 청사진을 그린다. 이후 이를 통해 향후 어떤 기술이 표준이 되어야 할지 도출해내고, 정부에 이를 위해선 어떤 정책이 필요할지 제언하는 형태다. 위원회는 자동차뿐 아니라 조선, 가전, 철강, 물류 등 다양한 산업의 미래 계획을 구상할 예정이다. 이렇게 분석한 자료는 10월 중 ‘AI산업정책위원회’를 개최해 발표한다.
총론을 그린 뒤엔 각론으로 넘어간다. 업종별 소관국이 주도해 6대 분야별 AI 전략 시리즈를 발표한다. 반도체 분야의 경우 차세대지능형반도체사업이 중심이 되어 첨단 패키지, 온디바이스-AI 등 AI 반도체 육성 전략을 마련한다. 또 에너지 분야의 경우 에너지공단이 중심이 되어 스마트전력망, 안전관리 등 AI 활용 산업 육성 전략을 짠다. 이 밖에 자율제조·연구개발·디자인·유통 등에 대해서도 전략 시리즈를 발표한다. 전략 시리즈는 월 1건 발표될 계획이며, 자율제조에 대해서는 지난 5월 8일 발표됐다.
이후 정부는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현실에 접목하기 위해 ‘산업 인공지능 활용 지원에 관한 법률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AI 기본법을 추진하고 있지만 국회에 계류 중이다. 산업부는 과기부의 AI가 규제 중심이라는 점을 감안해 진흥 측면에서의 법안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산업부는 위원회의 연구를 토대로 하반기 공청회를 개최하는 등 절차를 밟아 국회 발의를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위원회에서는 민간 전문가가 주도해 작업반을 구성해 총론을 그린다. 작업반은 △미래 AI기술 △미래 산업 모습 △표준 △정책 제언 등 크게 네 가지 분야에 대한 분석을 내놓을 예정이다. 예를 들어 위원회는 먼저 자동차 분야의 현재 기술 동향을 살펴본 뒤, 자동차산업의 미래 청사진을 그린다. 이후 이를 통해 향후 어떤 기술이 표준이 되어야 할지 도출해내고, 정부에 이를 위해선 어떤 정책이 필요할지 제언하는 형태다. 위원회는 자동차뿐 아니라 조선, 가전, 철강, 물류 등 다양한 산업의 미래 계획을 구상할 예정이다. 이렇게 분석한 자료는 10월 중 ‘AI산업정책위원회’를 개최해 발표한다.
총론을 그린 뒤엔 각론으로 넘어간다. 업종별 소관국이 주도해 6대 분야별 AI 전략 시리즈를 발표한다. 반도체 분야의 경우 차세대지능형반도체사업이 중심이 되어 첨단 패키지, 온디바이스-AI 등 AI 반도체 육성 전략을 마련한다. 또 에너지 분야의 경우 에너지공단이 중심이 되어 스마트전력망, 안전관리 등 AI 활용 산업 육성 전략을 짠다. 이 밖에 자율제조·연구개발·디자인·유통 등에 대해서도 전략 시리즈를 발표한다. 전략 시리즈는 월 1건 발표될 계획이며, 자율제조에 대해서는 지난 5월 8일 발표됐다.
이후 정부는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현실에 접목하기 위해 ‘산업 인공지능 활용 지원에 관한 법률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AI 기본법을 추진하고 있지만 국회에 계류 중이다. 산업부는 과기부의 AI가 규제 중심이라는 점을 감안해 진흥 측면에서의 법안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산업부는 위원회의 연구를 토대로 하반기 공청회를 개최하는 등 절차를 밟아 국회 발의를 추진할 계획이다.
첫 분야별 AI 전략 시리즈 ‘AI 자율제조 전략 1.0’의 내용은?
앞서 위원회는 출범식과 동시에 ‘AI 시대의 신산업정책’ 6대 분야의 첫 번째 과제인 ‘AI 자율제조 전략 1.0’을 발표했다. AI 자율제조란 ‘AI를 기반으로 로봇·장비 등을 제조 공정에 결합시켜 생산의 고도화와 자율화를 구현하는 미래 제조 환경’을 말한다. 인구구조 변화, 탄소중립, 생산성 저하 등 제조업을 둘러싼 난제들을 해결할 핵심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AI 자율제조 전략 1.0은 AI 자율제조 도입을 확산시키고 핵심 역량을 확보, 생태계를 진흥시키는 데 방점이 찍혀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올해에만 1000억 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해당 대책을 통해 2030년 AI 자율제조확산율을 30% 이상(현재 9% 수준), 제조 생산성을 20% 이상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직 기초 단계에 머물러 있는 제조업의 지능화 수준을 고도화 단계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산업부는 상세 공정 분석을 통해 AI 적용 가능성과 효과성 등을 면밀히 검토한 후 해당 프로젝트에 소프트웨어(SW)·로봇·시스템 구축 등을 지원한다. 올해는 지자체 공모를 통해 10개 사업을 우선 선정해 연말까지 100억 원의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사업 선정 시 지역 특화산업 등 지자체 수요도 적극 반영할 예정이다. 이 밖에 AI 자율제조의 3대 공통 핵심인 △산업 AI △장비 및 로봇 △통합솔루션 개발 등을 위해 3000억 원 규모의 예산타당성을 추진하고, AI 자율제조 친화형 산업 생태계 조성 지원 차원에서 1만3000명의 전문 인력과 250개 이상의 전문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이 같은 ‘AI 자율제조 전략 1.0’은 민·관·연 공동 추진 기구로 ‘AI 자율제조 얼라이언스’를 상반기 중 구성해 운영할 계획이다. 정부, 연구소, 협·단체, 업종별 주요 기업들이 참여해, AI 자율제조의 확산, 연구개발R&D 등 협력사업, 산업 데이터 공유·활용, 법·제도 개선 등 AI 자율제조 관련 실질적인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며, 각 부처와의 협업도 강화할 예정이다.
AI 자율제조 전략 1.0은 AI 자율제조 도입을 확산시키고 핵심 역량을 확보, 생태계를 진흥시키는 데 방점이 찍혀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올해에만 1000억 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해당 대책을 통해 2030년 AI 자율제조확산율을 30% 이상(현재 9% 수준), 제조 생산성을 20% 이상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직 기초 단계에 머물러 있는 제조업의 지능화 수준을 고도화 단계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산업부는 상세 공정 분석을 통해 AI 적용 가능성과 효과성 등을 면밀히 검토한 후 해당 프로젝트에 소프트웨어(SW)·로봇·시스템 구축 등을 지원한다. 올해는 지자체 공모를 통해 10개 사업을 우선 선정해 연말까지 100억 원의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사업 선정 시 지역 특화산업 등 지자체 수요도 적극 반영할 예정이다. 이 밖에 AI 자율제조의 3대 공통 핵심인 △산업 AI △장비 및 로봇 △통합솔루션 개발 등을 위해 3000억 원 규모의 예산타당성을 추진하고, AI 자율제조 친화형 산업 생태계 조성 지원 차원에서 1만3000명의 전문 인력과 250개 이상의 전문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이 같은 ‘AI 자율제조 전략 1.0’은 민·관·연 공동 추진 기구로 ‘AI 자율제조 얼라이언스’를 상반기 중 구성해 운영할 계획이다. 정부, 연구소, 협·단체, 업종별 주요 기업들이 참여해, AI 자율제조의 확산, 연구개발R&D 등 협력사업, 산업 데이터 공유·활용, 법·제도 개선 등 AI 자율제조 관련 실질적인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며, 각 부처와의 협업도 강화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