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치료제
DTx, Digital Therapeutics
디지털 치료제는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질병을 예방, 관리, 치료하는 신개념 치료제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가상현실VR, 인공지능AI, 웨어러블 기기 등을
활용해 환자의 행동을 수정하거나 인지기능을 개선하는 등의 방식으로 치료 효과를 유도하며, 기존의 약물 치료와 병행하거나 대체할 수 있다.
#미국 FDA,
첫 디지털 치료제 승인
2017년 9월, 미국 FDA는 중독 치료용 앱 ‘리셋reSET’
을 디지털 치료제로 처음 승인했다. 리셋은 환자의 행동 데이터에 기반한 인지행동 치료CBT를 제공한다. FDA 승인 이후 불면증, ADHD 등 다양한 질환에 대한
디지털 치료제가 미국, 유럽을 중심으로 속속 등장했다.
#국내 첫 디지털 치료제
‘솜즈Somzz’
2023년 2월, 국내 기업 에임메드의 불면증 치료용 디지털 치료제 ‘솜즈Somzz’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의료기기
허가를 받았다. 이는 국내 최초의 디지털 치료제로, 앱에서 수면 습관 교육, 수면 방해 행동 중재, 실시간 상담 등을 통해 인지행동 치료를 유도한다.
#게임형 디지털 치료제
‘인데버RxEndeavorRx’는 미국 FDA 허가를 받은 최초의 게임형 디지털 치료제다. 디지털 치료 전문 기업 아킬리
인터랙티브에서 제작한 이 치료제는 비디오 게임을 통해 어린이 ADHD 환자가 집중하고 몰입할 수 있도록 한다.
#비대면 진료
환자가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않고 ICT 기술을 통해 의사에게 진찰, 처방 등 의료 서비스를 받는 것을 말한다. 국내에선 지난 5년간 시범 사업을
진행했으며, 현재 법제화 추진 중이다.
#전자약
머리 등 신경계에 전기자극을 전달해 질병(우울증, 불면증 등)을 치료하는 하드웨어 기반의 의료기기다. 신경계 질환과 관절염, 대사질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
의료와 디지털 기술이 융합된 종합 의료 서비스로, 의료 전반에 걸친 포괄적인 개념이다. 디지털 치료제는 디지털 헬스케어의 하위 개념으로, 치료
목적의 기술에 해당한다.
#디지털 바이오마커
웨어러블 기기나 스마트폰 같은 디지털 장치를 통해 수집할 수 있는 객관적·정량적인 생리학적 행동 데이터를 말한다. 이를 통해 디지털 치료 제의
정밀한 치료 효과 분석이 가능하다.
#디지털 융합 의약품
기존 약물과 디지털 치료제를 병용하는 ‘Drug+DTx’ 방식이다. 국내에서는 비만치료제와 당뇨병 디지털 치료제를 결합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디지털 융합 의약품을 개발 중이다.
#SaMDSoftware as a Medical Device
전자·기계장치 등 하드웨어에 결합되지 않고 범용 디지털 기기 환경에서 운영되는 독립 형태의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디지털 치료제 중 상당수가
SaMD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