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New Tech>R&D 프로젝트1
1000조 분의 1몰 농도로
심근경색, 알츠하이머 치매 조기 진단한다

액침 실리콘 기반 광화학 다채널
바이오센서 개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s_double.jpg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급성심근경색과 알츠하이머 치매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일반 검진으로는 발견하기 어려운 중증 질환을 미리 알 수 있어 100세 건강에 한발 더 다가서게 됐다.

word 김아름 photo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에스아이에스센서

s6_1_1.jpg
s6_1_2.jpg
증상이 심해야 발견할 수 있는 기존 진단법
중장년층이 가장 두려워하는 질환 2가지를 꼽자면 급성심근경색과 치매를 들 수 있겠다. 급성심근경색은 심장으로 흐르는 혈관이 갑작스럽게 막혀 심장 근육이 손상을 입게 되는 질환으로, 초기 사망률이 30%에 달한다. 한편 알츠하이머병은 전체 치매 환자의 70%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으로 기억력을 비롯해 전체적인 인지기능과 신체 능력이 떨어진다. 두 질환 모두 증상이 심해지기 전까지 병을 진단하기가 어렵다. 병이 진행되며 발생하는 특정 단백질로 질환을 진단하는데, 발병 초기에는 해당 단백질이 혈액 내 극미량 존재하기 때문이다.

현재 대표적인 질환 진단법은 효소면역측정법ELISA이다. 항원이나 항체를 결합한 후에 추가로 2차 항체, 효소, 형광 물질 등을 더해 결합 반응을 확인한다. 하지만 이 방법으로는 아주 적은 양의 단백질을 발견하는 데 한계가 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이었던 조현모 박사는 빛을 활용해 특정 물질을 감지하는 표면플라즈몬공명SPR 센서를 개발하고 있었는데, 이 역시 몇 가지 한계점이 존재했다. 이에 조 박사는 기존 질환 진단 방법과 자신이 연구하던 센서의 단점을 모두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진단 센서의 개발 필요성을 느꼈다.
1펨토몰의 혈액으로 급성심근경색 진단 가능
s6_1_3.jpg
해당 R&D를 통해 만들어진 시작품.
반도체측정장비팀과의 융합 연구를 통해 고도화된 기술로 시료를 측정한다.
2005년까지 반도체 나노 박막 두께 측정 분야의 전문가로 일했던 조 박사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측정 기술을 바이오센서에 적용해보기로 했다. 실리콘 기반의 센서를 측정에 사용할 경우, 기존 연구에서 문제가 되었던 주변 온도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란 판단이 선 것이다. 그렇게 2016년 실리콘 기반의 바이오 측정 진단 센서가 세상에 나왔다. 이후 산업통상자원부의 센서산업고도화전문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해 반도체 측정장비 연구팀과 융합 연구개발을 진행하게 되었고, 그 결과 기존 장비 대비 450배 이상의 고민감도 측정이 가능한 장치를 만들어냈다.

그렇다면 과연 얼마나 적은 양의 입자까지 찾아낼 수 있을까? 연구를 시작한 지 1년이 되었을 무렵, 조 박사 연구팀은 “급성심근경색의 바이오마커 3종에 대해 1피코몰의 민감도로 측정할 수 있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이를 조금 풀어서 설명하면, 우선 질환에 따른 변화부터 살펴보아야 한다. 급성심근경색은 혈관이 막혀 피가 통하지 않는 부분의 심장 근육이 괴사하기 때문에 나타난다. 이때 혈액에서 특정한 단백질이 발견된다. 이 단백질은 건강한 심장 근육에선 제 역할을 하지만, 심장이 아프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혈액으로 분출되는 것이다. ‘트로포닌 I’가 바로 그 단백질이다. 다시 말해 혈액에서 트로포닌 I가 발견되었다면, 심장에 이상이 생겼다고 보면 된다.
진단업계에서는 트로포닌 I와 같은 특정 단백질을 바이오마커라고 부른다. 바이오마커가 발견될 때, 특정 질환을 진단하는 것이다. 한편 ‘몰mole’이라는 단어는 화학반응을 연구할 때 쓰는 단위로, 아주 작은 입자들의 수를 뜻한다. 1몰은 6.022×1023개의 입자를 포함한다. 쉽게 말해, 물 분자 1몰의 질량은 18g이다. 1피코몰p은 18g의 물을 1조 개로 나눈 양이다.
이를 종합해보면 ‘바이오마커 3종에 대해 1피코몰의 민감도로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은 눈에 보일까 말까 한 적은 양을 가지고 3가지의 특정 단백질을 찾아낼 수 있다는 말이다. 해당 결과는 바이오센서 분야의 저명 저널인 <바이오센서스 앤드 바이오일렉트로닉스Biosensors and Bioelectronics>에 소개될 만큼 놀라운 성과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해당 연구를 위해 새롭게 합류했던 김동형 박사의 손에서 또 한 번의 성과가 탄생했다. 1pM보다 더 적은 양, 수십 펨토몰fM에서 동일한 결과값이 도출되었다. 1fM은 18g의 물을 1000조 번 나눈 양이다. 현미경으로도 보기 어려운 적은 양으로도 급성심근경색을 진단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역시 전 세계 연구자들의 이목을 끌 만큼 값진 결과였다.

같은 원리로 치매의 조기 진단도 가능하다. 연구팀의 초고감도 실시간 바이오센싱 장비는 혈액에 존재하는 알츠하이머의 원인 물질인 아밀로이드베타와 타우단백질tau protein의 세밀한 농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알츠하이머는 조기 발견 시 증상의 시작을 뒤로 미룰 수 있어 병의 진행을 늦추고 환자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
새로운 길을 닦는 융합 연구
오늘날 글로벌 체외 진단 시장의 45.4%를 해외 진단 기업이 차지하고 있다. 특히 분자·면역 진단 시장은 해외 기업의 독점률이 더 높아 우리만의 원천기술 개발이 시급한 분야다. 이 가운데 조 박사 연구팀의 성과가 세계적으로 큰 이슈가 되었고, 이는 비슷한 연구를 진행 중인 국내 연구진에게 큰 힘이 될 것이다.

‘액침 실리콘 기반 광화학 다채널 바이오센서’는 그 이름처럼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함께 힘을 합친 융합 연구의 결실이다. 빛의 특정한 움직임(편광)을 측정하기 위한 광측정 기술과 생화학 표면 센서 제작 기술, 생명공학 기술 등이 한데 어우러져 탄생했다. 조현모 박사가 반도체 나노 박막 편광측정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고, 이번 연구를 위해 생명공학 전공의 김동형 박사가 합류했다. 나노종합기술원과 의료기기 중견기업 ㈜디엠에스도 참여했다.

전에 없던 새로운 기술이기에 참고할 만한 선행 연구가 있을 리 만무했다. 하나부터 열까지, 모든 단계에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야 했다. 펨토몰 이하의 아주 정밀한 측정이기에 측정 신호가 잡히지 않을 때면, 전체 과정을 되짚으며 문제를 해결했다. 그중 연구팀을 가장 괴롭힌 것은 바이오 시료였다. 보통의 시료라면 한 번에 여러 개를 만들어두고 필요할 때마다 가져다 쓰면 되는데,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바이오 시료의 경우 미리 만들어둘 수가 없다. 따라서 측정을 할 때마다 새롭게 시료를 만들어야 했는데, 여기에 꼬박 한나절이 소요되었다. 실험을 위한 준비시간이 길어질수록, 실험에 대한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바이오 시료의 높은 비용 역시 간과할 수 없었다.

조 박사는 “서로 다른 분야를 이해하고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는 데 정말 많은 시간과 인내가 필요했다”며 “새로운 분야에 대한 도전 정신이 투철해야만 버틸 수 있다”고 융합연구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많은 연구자들이 지난한 과정을 오롯이 버텨냈기에 최신 기술이 세상에 소개되고 있음을 대변하는 말이기도 했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약국이나 편의점에서 판매했던 자가진단키트는 정확성이 부족했다. 그 때문에 감염 사실을 알지 못해 답답한 경우가 많았다. 물론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성과가 우리 삶에 바로 적용될 수는 없다. 그럼에도 미래 건강을 지킬 수 있는 놀라운 진단 기술이 우리 사회 안에서 연구개발되고 있다는 점이 참으로 다행스럽다.
s6_1_4.jpg
액침 실리콘 기반 바이오센서를 개발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연구진. 왼쪽부터 제갈원, 김동형, 조현모, 조용재 연구원
s6_1_7.jpg
s6_1_8.jpg
액침 실리콘 기반 광화학 다채널 바이오센서 개발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특징은 무엇인지?
실리콘 박막을 선택했다는 부분이다. 실리콘은 기존 바이오 박막과 비교해 아주 높은 굴절률을 가지고 있어 초고감도 측정이 가능하다. 안정된 특성이 있으면서도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 추후 상용화에도 이점으로 작용할 것이라 본다.
액침 실리콘 기반 광화학 다채널 바이오센서 개발 이후에는 어떤 연구를 진행했나?
2022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주관한 모바일기기 연계 간편 진단 디바이스 개발 사업에 했다. 센서산업고도화전문기술개발 사업에서 제작한 시작품은 비교적 장치의 크기가 큰 편이라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을 진행했고, 지난해 간편 진단을 위한 새로운 특허를 출원하기도 했다.
㈜에스아이에스센서를 통해 원천기술의 상용화까지 준비 중이라고 들었다.
그렇다. 그동안 액침 실리콘 기반 기술과 간편 진단 센서 기술 등을 연구개발하면서 쌓은 역량을 실제 산업 현장에 소개할 계획이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내에 창업공작소가 있는데 그곳을 통해 ㈜에스아이에스센서를 설립하게 되었다. 지금껏 측정 민감도가 낮아 진단할 수 없었던 각종 중대 질환이나 급성 감염병을 빠르게 진단하고, 초저분자 신약후보물질 발견에 필요한 장치와 센서 등을 만들고자 한다.
s6_1_7.jpg
s6_1_9.jpg
해당 연구를 계기로 연구팀에 합류했다고 들었다. 본 연구의 어떤 점이 마음에 들었나?
바이오 분야 측정장비는 보통 해외 제품을 수입해 활용하는 상황이라, 국내 기술로 측정 장비를 개발하고 싶은 목표가 있었다. 조현모 박사의 고도화된 반도체 측정 기술을 바이오센서에 적용하면, 기존 수입 장비보다 우수한 성능의 바이오센서 장치를 개발할 수 있겠다는 생각에 시작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고민감도 바이오센싱 장치의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다수의 국제 유력 학술지에 게재되는 등 전문가들에게 인정받으며 큰 보람을 느꼈다.
바이오 분야 측정장비는 보통 해외 제품을 수입해 활용하는 상황이라, 국내 기술로 측정 장비를 개발하고 싶은 목표가 있었다. 조현모 박사의 고도화된 반도체 측정 기술을 바이오센서에 적용하면, 기존 수입 장비보다 우수한 성능의 바이오센서 장치를 개발할 수 있겠다는 생각에 시작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고민감도 바이오센싱 장치의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다수의 국제 유력 학술지에 게재되는 등 전문가들에게 인정받으며 큰 보람을 느꼈다.
보람이 큰 만큼 애정도 클 것 같다. 해당 연구는 현재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2018년 12월 알츠하이머 치매 바이오마커를 해당 기술로 검출하는 연구를 수행하면서, 본 기술이 실제 의료 현장에서 쓰이기를 바랐다. 그 무렵 관련 사업을 영위하던 ㈜디엠에스에 기술을 이전하고 응원했으나, 기업 사정으로 사업화가 중단되었다고 들었다. 기술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기업 내부에 장치기술에 대한 높은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을 배우는 계기였다. 이후 다시 우리 연구팀에서 해당 기술을 고도화하고, 또 누구나 쉽게 다룰 수 있도록 간소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상용화하기 위해 조현모 박사가 ㈜에스아이에스센서를 창업하게 된 것이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바이오 측정 기술을 연구한다는 것이 놀랍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국가측정표준 대표기관으로 물리, 화학, 양자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측정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바이오의료 분야 역시 중요한 부분이다. 글로벌시장에서 우리 바이오산업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필요한 측정기술과 표준물질을 개발하는 것도 우리의 몫이다. 세계 최고 수준의 측정 능력을 기반으로 바이오산업과 의료 현장에 도움이 되도록 노력 중이다.
2022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주관한 모바일기기 연계 간편 진단 디바이스 개발 사업에 했다. 센서산업고도화전문기술개발 사업에서 제작한 시작품은 비교적 장치의 크기가 큰 편이라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을 진행했고, 지난해 간편 진단을 위한 새로운 특허를 출원하기도 했다.
㈜에스아이에스센서를 통해 원천기술의 상용화까지 준비 중이라고 들었다.
그렇다. 그동안 액침 실리콘 기반 기술과 간편 진단 센서 기술 등을 연구개발하면서 쌓은 역량을 실제 산업 현장에 소개할 계획이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내에 창업공작소가 있는데 그곳을 통해 ㈜에스아이에스센서를 설립하게 되었다. 지금껏 측정 민감도가 낮아 진단할 수 없었던 각종 중대 질환이나 급성 감염병을 빠르게 진단하고, 초저분자 신약후보물질 발견에 필요한 장치와 센서 등을 만들고자 한다.
보람이 큰 만큼 애정도 클 것 같다. 해당 연구는 현재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2018년 12월 알츠하이머 치매 바이오마커를 해당 기술로 검출하는 연구를 수행하면서, 본 기술이 실제 의료 현장에서 쓰이기를 바랐다. 그 무렵 관련 사업을 영위하던 ㈜디엠에스에 기술을 이전하고 응원했으나, 기업 사정으로 사업화가 중단되었다고 들었다. 기술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기업 내부에 장치기술에 대한 높은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을 배우는 계기였다. 이후 다시 우리 연구팀에서 해당 기술을 고도화하고, 또 누구나 쉽게 다룰 수 있도록 간소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상용화하기 위해 조현모 박사가 ㈜에스아이에스센서를 창업하게 된 것이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바이오 측정 기술을 연구한다는 것이 놀랍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국가측정표준 대표기관으로 물리, 화학, 양자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측정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바이오의료 분야 역시 중요한 부분이다. 글로벌시장에서 우리 바이오산업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필요한 측정기술과 표준물질을 개발하는 것도 우리의 몫이다. 세계 최고 수준의 측정 능력을 기반으로 바이오산업과 의료 현장에 도움이 되도록 노력 중이다.
 이번 호 PDF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