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L이란 무엇인가?

TRL은 1974년 NASA에서 우주산업의 기술 투자 위험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처음 고안한 개념이다.
내가 하고 있는 사업이나 연구를 외부에서 평가할 경우, 외부 기관은 기술 성숙도 개념을 접목해서 평가합니다. 우리가 흔히 ‘기술 완성도’ 또는 ‘기술 성숙도’라고
번역하는 TRLTechnology Readiness Level은 기술의 개발 단계를 알려주는 지표입니다. 이를테면 어떤 아이디어나 기술이 개발 초기 단계부터
상용화되는 최종 단계까지 얼마나 완성도를 갖추었는지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척도인 셈입니다.
TRL은 다양한 기술 및 산업 분야에서 특정 기술의 성숙도를 평가하거나, 서로 다른 기술 유형 사이의 성숙도를 지표에 근거하여 측정하고 비교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상호 기술의 성숙도에 대한 정보를 원만하게 교류하며 혼돈을 줄이기 위해서는 주관적 지표가 아닌 일관성 있는 객관적 지표가 필요합니다. TRL을 활용하면 기술의 개발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통해 기술사업화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TRL은 1974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우주산업의 기술 투자 위험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처음 고안한 개념입니다. 그리고 1989년 공식적으로
TRL의 평가 체계를 규정했습니다. 이후 1990년대에 미국 국방부DoD에서 국방부 추진사업의 위험도 관리 방안 차원으로 활용하기 시작했습니다. 2000년대에는
일본을 비롯해 유럽우주국ESA과 유럽위원회EC, 미국석유협회AP 등에서 도입해 쓰고 있습니다.
그럼 우리는 어떨까요. 한국은 2000년대 연구개발 성과를 관리하기 위해 국방·부품 소재 개발 분야에서 처음 도입했습니다. 현재 정부, 지자체, 기관의 국책 과제 등에 TRL 평가
체계를 수립해 활용하고 있습니다. 신약, 생물학적 제제 백신, 의료기기, 바이오마커, 의료 기술 등에도 TRL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TRL은 연구 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프로젝트가 사업화에 성공할 수 있도록 돕고자 만든 수단입니다. 한국의 TRL 평가 체계는 기본적으로 NASA의 모델을 기반으로
하지만, 국내 산업구조와 특성에 맞게 약간의 변형이 가해졌습니다. 현재는 민간 연구개발R&D 프로그램에도 맞게 재정의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TRL은 기술의 완성도를 숫자로 나타냅니다. 기초연구 단계부터 양산 단계까지 총 9단계로 나뉩니다. 연구개발 환경(실험실, 유사 환경, 실제 환경), 연구개발 결과물(시제품,
완제품), 기술 수준(개념, 시현, 성능 검증)에 따라 기술 성숙도를 분류하는 것입니다.
9단계는 다시 1~2단계의 기초연구 단계, 3~4단계의 실험 단계, 5~6단계의 시작품 단계, 7~8단계의 실용화 단계, 9단계의 사업화 단계로 세분됩니다. 이는 R&D를 하는
기술 수준이 개념 설계인지, 구현할 수 있는 정도인지, 바로 상용화 가능해 현장에 적용되는지 등에 따라 구분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