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
_Vol.21
Vol.21
2025.06
_Vol.20
2025.05
_Vol.19
2025.04
_Vol.18
2025.03
_Vol.17
2025.02
_Vol.16
2025.01
_Vol.15
2024.12
_Vol.14
2024.11
_Vol.13
2024.10
_Vol.12
2024.09
_Vol.11
2024.08
_Vol.10
2024.07
_Vol.09
2024.06
_Vol.08
2024.05
_Vol.07
2024.04
_Vol.06
2024.03
_Vol.05
2024.02
_Vol.04
2024.01
_Vol.03
더보기
검색창 열기
VOL.
21
2025.07
Focus Story
›
Infographic
Story①
Story②
Story③
Story④
Keitoon
Changing Tomorrow
›
Best Practice
R&D Project
똑소리단이 보는 산업기술 R&D
R&D Sense
R&D Policy
One More Tech
›
Tech for Earth
키워드 산책
R&Dism
›
슬기로운 기술 생활
공학자의 시선
잡 인사이드
Focus Story > Story①
많은 특허가 아닌 강한 특허가 필요하다
Changing Tomorrow > Best Practice
철강 공정에서 발생하는 CO
2
감축 탈탄소 기술,
탄소를 에너지로 바꾸다
Changing Tomorrow > R&D Project
OLED 국산화의 빈칸?
8.6세대 디스플레이는 다르다!
R&Dism > 슬기로운 기술 생활
기술 완성도의 지표, TRL
Focus Story
Infographic
IT’s Hot,
기술사업화!
전 세계에서 손꼽히는 R&D 투자 대국, 대한민국. 그런데 실제 사업화되는 비율은 낮다고? 기술사업화의 개념과 글로벌 특허 현황, 우리의 현실을 살펴보고 대한민국 기술사업화 방향을 고민해본다.
Story①
많은 특허가 아닌
강한 특허가 필요하다
한국 대학은 특허를 많이 낸다. 미국보다 더 많이, 더 빠르게. 그러나 기술료 수입은 왜 미국의 몇 분의 일에 불과할까? 한국과 미국 대학의 기술이전 데이터를 비교해보면, 특허 개수 중심의 평가지표가 불러온 구조적 한계가 드러난다. ‘많은 특허’가 반드시 ‘강한 특허’를 의미하진 않는다. 우리는 지금 특허의 ‘질’을 고민할 시점에 와 있다.
Story②
상용화로 증명한
스타트업 국가의 저력
이스라엘은 결코 유리한 출발선에서 시작한 나라가 아니다. 그러나 방화벽을 혁신한 ‘체크포인트’를 비롯해 수많은 기술 기반 스타트업의 성공은 이 나라가 어떻게 ‘위협을 기회로’ 바꾸었는지 보여준다.
Story③
중국의 기술사업화 전략은
민관학
民官學
모델
중국은 불과 10여 년 전만 해도 외국 기업의 기술을 도입하는 데 집중하던 ‘기술 수입국’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AI부터 드론, 이커머스에 이르기까지 자국 기술과 기업으로 세계 시장을 이끄는 기술 강국으로 거듭났다. 그 중심에는 기업, 정부, 대학이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민관학(民官學)’ 모델이 있다. 중국의 기술사업화는 어떻게 가능했고, 우리는 그 전략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Story④
딥테크 창업의
쓰레기통 모델
왜 한국에는 테슬라나 구글 같은 기업이 없는 걸까? 기술은 있지만, 그 기술을 ‘과감한 사업 모델’로 연결할 환경이 부족하다. 지금 한국에는 쓰레기통처럼 아이디어와 사람이 섞이는 창업 생태계가 필요하다.
Keitoon
아이디어,
현실이 되다옹!
피보팅이란? 처음 계획한 방향에서 시장 반응, 사용자 피드백, 성과 부족 등을 고려해 핵심 가치는 유지하면서 실행 방식을 바꾸는 것
Changing Tomorrow
Best Practice
포스코
철강 공정에서 발생하는 CO
2
감축 탈탄소 기술
탄소를 에너지로 바꾸다
R&D Project
㈜티로보틱스
OLED 국산화의 빈칸?
8.6세대 디스플레이는 다르다!
똑소리단이 보는 산업기술 R&D
기술과의 공존을 위한
5가지 질문
R&D Sense
<깨알 키워드>
#유리기판
Glass Substrate
R&D Policy
산업 지도를 바꿀 차세대 기술
One More Tech
Tech for Earth
탄소발자국 인증받은 AI TV
LG전자가 북미와 한국에 이어 유럽에 2025년형 올레드 TV 라인업을 본격적으로 출시했다. LG전자는 4월 초부터 영국과 독일, 스위스, 헝가리 등 유럽 8개국에서 2025년형 올레드 TV 신제품 판매를 시작했다.
키워드 산책
과연 20년 뒤 우리는 뭘 먹고 살게 될까?
전 세계 인구가 80억을 넘어섰다. 환경파괴와 기후변화로 인해 생물 다양성은 나날이 감소하고 있다. 수십 년 전부터 제기돼온 식량 위기가 현실화될 조짐이 보인다. 앞으로 우리는 무엇을 먹고 살아가게 될까. 인류와 지구를 살리기 위한 이른바 ‘푸드테크’에 대해 살펴본다.
R&Dism
슬기로운 기술 생활
개발 기술
완성도의 지표,
TRL
공학자의 시선
신소재를 통해
꿈꾸는
의료의 미래
잡 인사이드
무인 자동화부터 맞춤형 재배까지
스마트팜으로
농업의 미래를 설계하다
이번 호 PDF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