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 속 사물 구현해 미리 경험하고 예측
지난 2020년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전 인류가 속도를 늦추는 대신 디지털 세계로의 전환을 가속화했습니다. 특히 ‘디지털트윈’의 활용도가 확대되었습니다. 미국 미래학
싱크탱크인 다빈치연구소 소장이자 미래학자 토머스 프레이Tomas Frey는 그 흐름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멈추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예측했습니다.
디지털트윈이란 현실에 존재하는 것을 쌍둥이처럼 복제해 디지털화하는 것입니다. 현실 세계의 기계나 장비, 사물을 컴퓨터 속 가상 세계에 똑같이 구현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해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들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해 결과를 예측, 분석하는 시스템입니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현실 세계에 변화를 가했을 때 실물이 어떻게 반응하고 변화하며, 또
어떤 일들이 일어날지 분석합니다.
메타버스가 가상의 세상을 실생활과 연결하는 것이라면, 디지털트윈은 세상의 일부를 가상공간에 그대로 구현합니다. 그렇다고 디지털트윈이 모든 사물에 적합한 방식은 아닙니다. 일반적인
시뮬레이션으로도 충분히 가능한 일을 반드시 디지털트윈으로 만들어내는 것은 비용이 지나치게 많이 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복잡한 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공장, 대규모 건축 현장
등에 구성된 제품이나 프로젝트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왜 굳이 세상의 일부를 가상공간에 그대로 구현하려는 것일까요. 이는 현존하는 사물의 상태가 과거에는 어떠했고, 현재 상태는 어떻고, 또 미래에 더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가상 시험을 통해 알기 위해서입니다. 실제 환경에서 실험하기 어려운 문제를 가상에서 검증하고 해결해 불확실성을 줄이고 최선의 선택을 찾아내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자신과 똑같은 신체를 가상으로 만든다고 해봅시다. 이때 실제 인물과 같은 조건(성별, 나이, 신장, 기저질환 여부 등)으로 가상 인물을 만든 다음 약물을 투여했을 때의
반응이나 치료 효과, 부작용 등을 시험한다면, 의사들이 나만을 위한 맞춤치료를 어떻게 진행해야 할지 시험해볼 수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자주 가는 식당, 회사, 학교, 도서관, 버스와 동일한 모습들을 디지털 화면에서 볼 수 있다면 어떨 것 같나요? 게다가 사진처럼 멈춰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 그대로를 실시간으로 보여준다면 말이죠. 당신이 식당을 운영하고 있다면, 집에 가는 길에 매장에 가스를 끄고 나왔는지 기억이 나지 않을 때, 직접 돌아갈 필요가
없습니다. 현재 위치를 직접 볼 수 있으니까요.